방랑시인 김삿갓 - 초야담화 > 유모어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유모어

방랑시인 김삿갓 - 초야담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현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12-21 23:30 조회11,490회 댓글0건

본문

 
김삿갓의 일생을 죽장망혜(竹杖芒鞋)
세상을 유람하다가 단천 고을에서
결혼을 한일이 있었다..
 
젊은 청춘남녀의
신혼 밤은 시간 시간마다
천금이 아닐 수 없지 않는가..
 
불이 꺼지고
천재 시인과 미인이 함께 어울어 졌으니
어찌 즐거움이야
이루 다 말할 수 있겠는가...?
 
6_copy1.jpg
 
뜨거운 시간에 취해있었던
김삿갓이 갑자기 찬물을
뒤집어 쓴 사람 처럼
불이나케 일어나서
 
1_copy.jpg




불을 켜더니 실망의
표정을 지으면서 벼루에
먹을 갈고 그 좋은
명필로 일필휘지하니...







모심내활(毛深內闊) 필과타인(必過他人)
털이 깊고 안이 넓어 허전하니
필시 타인이 지나간 자취로다.

이렇게 써놓고
여전히 입맛만 다시면서
한 숨을 내쉬고 앉아 있었다...
신랑의 그러한 행동에
신부가 의아해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고

신랑이 일어나는 바람에

원앙금침에 홀로 남아 부끄러움에 감았던
눈을 삼며시 뜨고



김삿갓이 써놓은
화선지를 살펴보곤
고운 이마를 살짝
찌풀이듯 하더니
 
1_copy1.jpg
 
이불에 감싼 몸을
그대로 일으켜 세워
백옥같은 팔을
뻗어 붓을 잡더니
그대로 내려쓰기 시작했다.


후원황률불봉탁(後園黃栗不蜂坼)
계변양유불우장(溪邊楊柳不雨長)
벌이 쏘지 않아도 저절로 벌어지고
시냇가 버들가지는

비가 오지않아도 저절로 자라니라..


290f179e41.jpg

글을 마친 신부는
방긋 웃더니 제자리로
돌아가 눈을 사르르 감고 누었다.


신부가 써놓은 글을 본 김삿갓은
잠시 풀렸던 흥이 다시
샘솟으며 신부를 끌어안지
않을 수가 없었으리라.
2_copy2.jpg
 
자기의 처녀성을 의심하는 글월도
글월 이거니와 이에응답하는 글
역시
문학적으로 표현해
1_copy2.jpg




놓았으니 유머도 이쯤 되면
단순히 음담패설이라고하지는못할 것이로다.

인생의 의미를
알려고 하기 보다 그인생을
즐기기위해 살아가는 한 남자...~~~!!

 
9_copy.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17 http://1438.ipdisk.co.kr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